DATA COMPOSITION Dual Exhibition

DATA COMPOSITION

 근간 우리의 일상을 영위하는 수많은 정보는 디지털화되었고 이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개인은 온라인 플랫폼의 속도감과 양으로 인해 원하는 정보만을 골라 순간적으로 흡수하며 각자의 가치관을 지나 다양하게 표출한다. 이번 ‘DATA COMPOSITION’에서는 시각예술을 다루는 두 작가 Alexander Appleby(알렉산더 애플비), 이윤서가 서로 다른 물질적 환경에 존재하지만, 현시대 속에서 흘러가는 정보를 나름의 태도와 방식으로 수집하여 개인적 경험 및 기억과의 관계를 맺고 작품세계에 얼마나, 어떻게 끌어들이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Alexander Appleby(b.1995, 영국)는 스스로가 감독이 되어 그만의 시나리오 속에 경험한 자연을 개작한다. 북부 잉글랜드의 풍경에서 영향을 받은 그의 작품은 지역성이 주는 토착적인 분위기가 담겨있는데 거친 지형과 그곳에서 오는 질감, 선명한 색 등이 작품의 기저에 깔려있다. 매끄러운 표면이 돋보이는 나무, 산, 식물 등의 묘사는 어느 것 하나 같은 것이 없는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을 좀 더 집약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장치와도 같다.
작가는 현실 세계에서 영감을 얻고 시현하지만 하나의 견지에만 머물지 않고 미디어를 통하여 접한 허구의 데이터를 그림 안으로 융합하고 발전시킨다. 전시 작품 <Low Poly Landscape>를 살펴보면 기계적이며 데이지를 닮은 식물은 고전 컴퓨터 게임 그래픽을 연상시키며, 여러 겹의 층위를 이루는 산등성이의 각색은 광대한 감각을 전달하여 독자적인 자연관을 형성한다. 실존할 수 없는 구조의 모호함과 아름다운 자연을 찬미하며 화면 속에 붙잡아 두려는 그의 그림은 ‘자연’과 그곳에 ‘있음 직하지 않은’ 것들이 결속된, 즉 데페이즈망적 연출로 인해 미묘하게 어긋나는 한 컷의 장면으로 귀결된다.
 이윤서(b.1983, 한국)는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온라인의 특성으로 영구함이 존속하지 않으며 요점을 상실해버린 정보의 흐름을 회화로 치환한다. 회화의 붓질은 그에게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매체로서 행위의 순간을 기록하기에 알맞다. 작가는 매체를 통해 스쳐 가는 방대한 정보의 형상을 캔버스 위에 속도감 있게 옮기는 모션을 다수 실천하여, 여러 겹의 제스처주의로 표현한다. 이 궤적은 시간의 간극에 의해 기억의 잔상이 혼재되고 중첩되는 틀어짐으로 나타난다. 덧없이 이동하는 정보의 원본은 증발하고, 해결 없이 겉만 남은 오늘날의 광경과 흡사하다.
작가의 집중력과 기억의 단절은 완벽한 재현이 불가능한 불완전성과 붓질의 어긋남을 만들어 내고, 이것들이 여러 겹 쌓이고 쌓이다 보면 정보의 이동이 맞고 틀리고의 문제를 떠난 채 과정에 의한 시각적 유희의 결과를 남긴다. 순간적이고 직관적으로 바라본 작가의 작품은 추상으로의 분류에 가깝지만 조금 더 면밀히 바라보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혹은 관객의 순간의 환경에 따라 분해 해석하게 되어 추상과 구상 그 사이에 머물게 된다.

Recent years have seen a mass digitization of the vast sea of information involved in managing our daily lives — and this, in turn, is impacting society as a whole. Thanks to the speed and volume of online platforms, individuals are able to sort for the exact information they seek, absorbing it instantaneously and reaching beyond the scope of their own values to express themselves in various ways. In 'DATA COMPOSITION', two visual artists who exist in different material environments — Alexander Appleby and Yoon Seo Lee — each in their own way and using their own methods, draw from the information flowing through our contemporary reality to explore whether and how these things relate to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ies, incorporating them into their body of work.

A director in his own right, Alexander Appleby (b.1995, UK) recreates the nature he has experienced in scenarios of his own making. Influenced by the landscapes of Northern England, Appleby’s work is imbued with the native feel of the region, underpinned by the vivid colors and textures of its rugged terrain. His smooth-surfaced trees, mountains, and plants, meanwhile, serve as a device that invites a more focused look at the beauty of nature itself, where no two things are exactly alike.

Even as he draws inspiration from the real world, however, the artist does not limit himself to any single perspective, fusing the fictional data he encounters across different media with his paintings and developing them further. In Low Poly Landscape, the mechanical, daisy-like plants recall the graphic style of classic computer games, while the adaptation of multiple layered mountain ridges conveys a sense of vastness, forming a unique vista. Between the ambiguity of their improbable composition and their attempts to hold and celebrate the beauty of nature within each frame, these paintings act as standalone scenes that combine “nature” with “that which is not there” — boiling down to scenes of subtle disruption, contained moments of dépaysement.

Yoon Seo Lee (b.1983, Korea) uses her chosen medium of painting to express the ceaseless flow of information that has lost its so-called “point” — as well as any claim to permanence — due to the constantly refreshed and updated nature of the online world. As an immediate and intuitive medium, the physical brushstroke of painting is perfectly suited to recording a moment of action; Lee gives form to the vast river of passing information and quickly transfers it onto her canvas, repeating the motion again and again in an expressive mode that amounts to a multi-layered gesturalism. This trajectory appears as a distortion, rifts in time jumbling and overlapping the afterimages of one’s memory. The source of the fleeting information evaporates, leaving behind a shell without resolution – much like the spectacle of today.

The artist's focus and the severance of her memory manifest as the imperfection and misalignments of the brush that render perfect reproduction impossible, and as these phenomena, in turn, are repeated, creating many layers, the transfer of information itself move past the very question of right and wrong, leaving only the result of visual play as process. At first glance, Lee’s work might be categorized as abstract; but when viewed more closely, they can be deconstructed over time, or even according to the viewer's specific positionality, leaving them to dwell in that space between abstract and figurative.

전시 : 2023.11.30 - 2023.12.30
장소 : The Untitled Void
시간 : 10:00am - 06:00pm
휴관 : 매주 일, 월
Previous
Previous

의식의 길: 표현의 흔적 Dual Exhibition

Next
Next

SOMEBODY Dual Exhibition